본문 바로가기
타일 A to Z

🏗️ 모래 위 몰탈 시공, 괜찮을까? 시공법 & 주의할 점 총정리!

by 타일빌더_We're not! 2025. 3. 16.
반응형

타일 시공에서 바탕면(하부층) 준비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.

특히 모래 위에 몰탈을 시공하는 경우, 올바르게 하지 않으면 균열, 침하, 들뜸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어요.
오늘은 모래 위 몰탈 시공이 가능한지, 어떤 방식으로 해야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!


 

✅ 1️⃣ 모래 위에 몰탈 시공, 가능한가요?

👉 답은 ‘가능하다’! 하지만 올바른 시공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.
모래 위에 바로 몰탈을 시공하면 침하(꺼짐)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.
그래서 반드시 압축 작업과 보강재(철망 등) 보강이 필수입니다.

 

📌 적용되는 사례
✔ 야외 테라스 바닥 시공 🏡
✔ 주차장 바닥(콘크리트 위 모래+몰탈 보강) 🚗
✔ 조경 공간 & 보도블록 설치 전 바탕 작업 🌿
✔ 실내 바닥 단차 보정 시


✅ 2️⃣ 모래 위 몰탈 시공법 & 핵심 포인트!

🔹 1. 모래 다짐(압축) 작업 필수!

모래는 성질상 입자가 헐겁기 때문에 압축(다짐)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서 꺼질 위험이 있어요.
✔ **진동다짐기(콤팩터)**를 사용해 단단하게 다지는 것이 중요!

🔹 2. 철망(와이어 매쉬) 보강하기!

모래 위에 몰탈을 시공할 경우,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(와이어 매쉬) 보강이 필수입니다.
몰탈의 균열을 최소화하고, 바닥 강도를 높이는 역할

🔹 3. 몰탈 혼합 비율 조절하기!

📌 일반적인 몰탈 배합비
시멘트 : 모래 = 1:3 ~ 1:4
✔ 너무 물을 많이 넣으면 강도가 약해지고, 너무 적게 넣으면 작업성이 떨어짐!

🔹 4. 몰탈 두께 확보 & 균일한 타설!

최소 3~5cm 두께 유지!
✔ 두께가 일정해야 바닥이 평평하고 강도가 유지됨

🔹 5. 양생(건조)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!

✔ 몰탈이 충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을 하면 균열 & 들뜸 발생
최소 24~48시간 양생 후 타일 시공 진행!


✅ 3️⃣ 모래 위 몰탈 시공 시 주의할 점 🚨

🔸 🔺 침하(꺼짐) 방지!
✔ 반드시 콤팩터(진동 다짐기)로 모래를 다져야 함!
✔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을 수 있음 → 압축이 부족하면 하자가 발생!

 

🔸 🔺 수분 조절 필수!
✔ 모래는 물을 쉽게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서 적절한 수분 조절이 필요
✔ 너무 건조하면 몰탈이 깨질 수 있음 → 적절한 양의 물을 추가!

 

🔸 🔺 바닥 균열 방지!
철망(와이어 매쉬) 사용 필수 → 바닥 강도를 높이고, 균열을 방지!
몰탈 두께 최소 3~5cm 확보


✅ 4️⃣ 모래 위 몰탈 시공이 적합한 경우 & 부적합한 경우

상황 가능 여부 이유
실내 바닥(아파트, 빌라) ❌ 비추천 침하 위험, 장기적 균열 발생 가능
야외 테라스 ✅ 가능 압축 & 보강 작업 필수
조경용 보도블록 바닥 ✅ 가능 철망+몰탈 두께 확보
주차장 바닥 ❌ 비추천 강도가 부족해 장기 사용 불가
공장 바닥 ❌ 불가능 하중을 버티기 어려움
창고 바닥 ✅ 가능 가벼운 하중이면 가능 (보강 필요)

📌 모래 위 몰탈 시공은 주로 ‘야외 바닥’에 적합하며, 실내 바닥에는 추천되지 않습니다.
강한 하중을 받는 공간에는 콘크리트 바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.


🎯 마무리

모래 위 몰탈 시공은 가능하지만, 올바른 방법을 따라야 한다!
진동다짐기(콤팩터)로 모래를 충분히 다져야 함!
철망 보강 & 몰탈 배합비 & 두께 확보 필수!
실내보다는 야외 바닥 시공에 적합!

🏗 타일 시공을 고민하고 있다면?
👉 [타일빌더]에서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세요! 💬✨
📌 더 많은 시공 팁 & 노하우는 [타일빌더 블로그]에서 확인하세요! 🚀

 

반응형